2025 국민임명식, 국민대훈 80인 명단과 이야기
2025년, 대한민국은 각 시대를 빛낸 국민 80인을 선정해 국민대훈을 수여했습니다. 올해 수훈자 명단은 광복 직후부터 현재까지, 정치·경제·과학·문화·체육·사회 각 분야에서 나라와 공동체를 위해 헌신한 인물들이 포함되었습니다.
국민대훈 80인 명단
연번 | 관련년도 | 성명 | 수훈사유 |
---|---|---|---|
1 | 1945 | 곽정교 (80, 남) | 광복동이, 건국운동 5등급 수훈자 |
2 | 1946 | 김동구 (56, 남) | 유일하게 남방한계선 이북 DMZ에 있는 마을 파주 대성동 자유의 마을 수민 |
3 | 1947 | 서성화 (69, 여) | 대극이크를 달고 첫 국체대회 출전한 마라토너 첫 서울올림픽 신유의 딸 |
4 | 1948 | 고완순 (86, 여) | 제주 4.3 이린아이 수감이 있던 너분승이 북토이를 수민 |
5 | 1950 | 이길필 (74, 남) | 흥남철수작전 중 배에서 태어난 디스빙 중 1인 |
6 | 1954 | 동인모 (96, 남) | 독도의용수비대장 총장, 독도의용수비대원 방명희의 아들 |
7 | 1955 | 최정일 (84, 남) | 시부지동차의 재작시(국제차량주식회사) 창업주인 첫 최우성님의 후손 |
8 | 1957 | 정진현 (67, 남) | 초신법 군시선(1947~1957) 군사에 참여한 첫 실임금 신성의 후손 |
9 | 1959 | 봉병명 (59, 남) | 전 노동당 기념관 가설 |
10 | 1960 | 이해학 (80, 남) | 4.19혁명 참가자, 수민교회 원로목사, (사)거례성업공동체 이사장 |
11 | 1961 | 나남의 (63, 남) | 임세감정기의 독림운동가, 아동문학가이자 어린이날의 삶시와 찬 월성한의 후손 |
12 | 1961 | 김연숙 (74, 여) | 한국 최초 인스턴트 라면 생산 창명실품 부회장 |
13 | 1963 | 김경수 (75, 여) | 한국 최초 인스턴트 라면 생산 창명실품 부회장 |
14 | 1964 | 석숙자 (77, 여) | 마북 간호사 (남북독립이을 수민) |
15 | 1965 | 박준혁 (26, 남) | 한글선과 베트남전 참전용사 7번의 이야기를 기묵한 책을 만든 충단사 세길 대표 |
16 | 1965 | 김다희 (23, 여) | 한글선과 베트남전 참전용사 7번의 이야기를 기묵한 책을 만든 충단사 세길 대표 |
17 | 1967 | 미르자모하드 (20, 남) | 국제기능올림픽 대한민국 최초 다문화 출신 국가대표선수 후보자 |
18 | 1968 | 김유 (65, 남) | 취학지인 백령병원에서 신북인과 의사로 근무하여 취학지역 신우의 문안의료에 기여 |
19 | 1969 | 엄김심 (57, 남) | 1987년 대한조선공사 입사 후 현재까지 나종공업에서 근무 |
20 | 1970 | 이진안 (61, 남) | 한국 최초로 반도체산업에 착수하고 수출함으로써 한국 반도체 산업 성장과 발전에 기여 |
21 | 1971 | 나성동 (84, 남) | 카이스트 설립 관계자 |
22 | 1973 | 이무영 (83, 남) | 동아일보 기자로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에서 자유로운 언론을 위해 활동 |
23 | 1974 | 이기표 (78, 남) | 1970~80년대 새마을 사건설에 근무(80~88)하며 우리기업의 수출 및 수주확대를 지원 |
24 | 1977 | 박춘규 (77, 남) | 1977년 한국 최초로 예배방송선전 등장 |
25 | 1978 | 고응연 (59, 남) | (사)자연보호중앙연맹 총재 |
26 | 1979 | 박수희 (78, 여) | 전주교회의구원선국연합 대표, 70~80년대 원효모랑 노조 부지부질으로 민주노조운동의 중인 |
27 | 1980 | 박명순 (66, 여) | 5.18민주화운동 당시 가두방송 주인공 |
28 | 1980 | 안호재 (66, 남) | 5.18민주화운동 당시 전남정착공장으로 갱정신업 자서와 진실을 보도한 외 언명한 지안감의 아들 |
29 | 1981 | 김주윤 (35, 남) |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 등의 사용성을 지원하는 세계 최초 '촉각 디스플레이' 등을 개발 |
30 | 1983 | 어원군 (76, 남) | KBS 칼PD로 <인간가족창기> 프로그램 당시 연출자 |
31 | 1984 | 홍일점 (54, 여) | 중앙디지털성립법 최대재차지원센터정으로서 디지털성립법 예방 및 대응에 앞장 |
32 | 1987 | 이종장 (59, 남) | 연세대 알 반정부 시위 당시 최루탄을 맞고 스러진 이한열 열사를 부축한 분 |
33 | 1988 | 이동화 (67, 남) | 대한민국 최초 남극 탐험 대원 |
34 | 1988 | 이현용 (73, 남) | 88서울올림픽부터 평창올림픽까지 자원봉사 서울올림픽 자원봉사자회 회장 |
35 | 1990 | 신죽자 (55, 여) | 밝달쟁애인 700명을 교육한 시혜적 기업(위견센터) 운영 종으로 중증장애인 정기근속 지원 |
36 | 1991 | 김소연 (23, 남) | 6.25 한국 전쟁에 참전, 개성 근교 철수동이리 문영으로 물러간 교육과 참전부대 실전 |
37 | 1993 | 유원상 (63, 남) | 에메랄드호, 스압리아, 아카부대 등 해외 파병현 건설고등학교 기술사 시간 |
38 | 1994 | 감네원 (44, 남) | 대한민국 대표 게임 기업 넥슨코리아 대표이사 |
39 | 1995 | 정시아 (50, 여) | 국민 시 블랙홀 가카오 대표이사 |
40 | 1996 | 이옥순 (54, 남) | 애틀랜타 올림픽 체조 은메달리스트 |
국민대훈의 의미
국민대훈 80인은 단순한 명예의 상징이 아니라, 우리 사회가 무엇을 가치 있게 여기는지를 보여줍니다. 독립과 민주, 과학과 문화, 인권과 봉사… 이 가치들이 모여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었습니다.
2025년의 이 명단은 기록으로 남아 다음 세대에게 “어떤 삶이 빛나는지” 알려줄 것입니다.
📌 정리
- 선정 기준: 각 시대·분야별 사회 공헌과 업적
- 특징: 과거·현재·미래를 연결하는 인물 구성
- 메시지: "역사는 사람으로 완성된다."